예로부터 찻물로 사용하는 물은 너무 가파르지도 너무 완만하여 유속이 없는 곳에서도 뜨지 않았다 한다.
뜨거운 낮이나 해지는 저녁도 아닌 새벽녘 이슬이 맺히고 떨어지기 직전에 물의 한 가운데서 떠올린다.
형체도 없는 물인데, 아무데서나 언제나 퍼올리면 되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정안수의 물인지, 설거지 통의 물인지를 굳이 구분해야 하는가 라고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쉽다.
이미 차의 효과는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물을 준비하고 숯불을 피우는 과정에서 벌써 마음을 고요하게 다스리게 됨을 알게된다.
다 같이 우물에서 퍼올린 물이라도 쓰임이 어떤지에 따라 달라진다.
'마음의 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하고 싶은 손 (0) | 2019.09.20 |
---|---|
너! 달려봤니 마라톤 (0) | 2019.09.03 |
섬 (0) | 2019.01.28 |
미로에 들어서게 되면 (0) | 2019.01.26 |
주황색의 매력 (0) | 2019.01.16 |